YASUDA SHOKAI's CB750F
"이 CB750F는 사실 베이스로 삼을 차량을 저희 쪽에서 준비할 예정이던 참에 오너가 먼저 입수해 매장으로 가져오셨기 때문에 그 차량을 베이스로 제작했습니다." 야스다 상회의 야스다 씨는 이렇게 말했다.
북미 사양의 '82FC 컬러, 이른바 스펜서 컬러로 제작된 모습을 보면 원래의 상태를 상상하기 어렵지만 여러 재생 작업을 거쳐 정성스레 손을 댔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처음에는 차량의 상태가 굉장히 안 좋았습니다. 엔진에서 오일이 새고 있었는데 주행 중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 가장 먼저 그 문제부터 해결했습니다. 프레임에는 이상한 레이다운 가공이 되어 있었어서 원상복구했습니다. 그런 다음에는 차체 하부도 전체적으로 새롭게 해 외관을 깔끔한 상태로 만들었습니다."라고 야스다 씨가 말했다.
휠은 앞뒤 모두 17인치 사양이다. 블랙 컬러의 올린즈 RWU 프론트 포크와 마찬가지로 블랙 컬러의 17인치 휠용 스템. 여기에 스윙암과 게일스피드 타입-GP1S 휠을 장착했다. 옐로우 스프링의 올린즈 그랜드 트윈 쇼크도 포인트가 되어 보기에도 좋은 조합이다.
"이 차량은 먼저 서스펜션 등 차체 하부를 튼튼하게 커스텀했습니다. 그래야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나도 큰 문제 없이 안심하고 라이딩을 즐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모품 등은 그냥 교체하면 됩니다. 엔진은 처음에 말씀드린 대로 오일 누유 문제를 해결했고, CB750FZ, FA, FB의 경우 오링이 들어가는 곳인 실린더 뒤쪽 스터드 볼트 주변의 실링이 불량인 부분을 복원시켰습니다.
오버홀과 머플러 변경 등 더욱 커스텀 작업을 할 만한 부분이 남아 있지만 이는 차후에 하려고 합니다. 한 번에 완성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차량은 단계별로 천천히 오래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라고 야스다 씨가 말했다.
앞으로 어떻게 커스텀 작업을 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확실한 계획이 있다면 먼저 차체 주변을 탄탄하게 만들어 놓는 것이 좋은 방법이며, 엔진에 손을 댈 때에도 셋업이나 타이어 변경 등을 함께 하면 좋다. 앞서 언급한 내용에 덧붙여 스템은 CB-F의 휠을 앞뒤 모두 17인치로 변경할 때 사용하기 좋으며, XJR1200용 φ43mm 프론트 포크를 장착할 수 있는 야스다 상회의 오리지널 제품을 장착했다. CB-F 순정 계기판 장착 브래킷도 함께 제공되며, CB-F 순정 라이트 브래킷을 사용할 수 있다. 헤드라이트가 조금 더 앞으로 나와 있는 어댑터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도 포인트다.
프론트 포크는 φ43mm 유닛으로 고품질화하고, 스윙암도 XJR 가공 알루미늄 스윙암으로 균형을 맞추는 등 이러한 17인치 컨버팅 노하우는 야스다 상회에서 이미 가지고 있는 탄탄한 기술이기도 하다. 머플러도 인기 있는 야스다 상회의 오리지널 핸드 벤딩 4-1(노멀 스텝 장착 가능. 사외 스텝의 경우, 별도 판매되는 UP용 테일 파이프를 이용해 장착 가능)을 장착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는 것으로 보아 향후 사양도 어느 정도 계획이 잡혀 있는 듯하다. 지금 상태의 바이크를 즐기는 것도 좋고 더욱 커스텀을 추가하는 것도 좋다. 분명한 것은 제대로 제작된 차량이라면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이라는 것이다.
핸들
휠 17인치화 및 φ43mm 프론트 포크에 대응야스다 상회의 오리지널 스템 키트를 장착했다. 핸들바는 에펙스의 프론트 마스터와 유압식 클러치 마스터는 닛신의 레이디얼을 사용했다. 계기판/헤드라이트는 순정품이며, 요시무라 디지털 멀티 계기판을 추가했다.
외장 부품
외장부품은 북미 CB750FC 컬러, 이른바 스펜서 컬러로 제작되었다. 시트는 순정품을 베이스로 삼아 개조했다.
엔진
엔진은 CB750F 노멀인데 오일 누유 문제를 해결한 후 다시 장착했다. 그 외에는 메탈기어웍스의 유압 클러치 키트와 스프라켓 커버, 오버레이싱의 슬라이더, 라운드 오일 쿨러 등을 추가했다. 스텝은 오버레이싱 제품을 선택했다.
카뷰레터는 FCR φ35mm에 K&N 필터를 장착했다. 레이싱 카뷰레터라도 교체 후 5년, 10년이 지나거나 주행거리가 늘어나면 점검과 교체를 통해 좋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야스다 씨가 말했다.
흡기&배기
메가폰 타입의 머플러. 미즈노 모터의 제스 파이프가 장착되어 있다.
섀시
프론트 포크는 φ43mm 이너 튜브의 올린즈 RWU. 프론트 브레이크는 브렘보의 P4-40C 캘리퍼와 썬스타의 프리미엄 레이싱 디스크의 조합이다.
앞뒤 휠은 게일스피드의 타입-GP1S 3.50-17/6.00-17 사이즈를 선택했다. 타이어는 수명과 접지력이 우수하다는 피렐리 디아블로 로쏘3를 장착했다. 리어는 공기량도 확보할 수 있는 편평비 60으로 120/70ZR17, 180/60ZR17을 장착했다.
리어 브레이크는 브렘보 P2-RS84 캘리퍼+썬스타 프리미엄 레이싱 디스크. 알루미늄 스윙암은 XJR1200의 부품을 가공해 유용한 것이며 리어샥은 올린즈 레전드 트윈을 사용했다. 드라이브 체인은 EK 530SRX2를 장착했다.
갤러리
사양
분류 | 부품 |
---|---|
엔진 | METAL GEAR WORKS 유압 클러치 키트 |
카뷰레터/흡기 | KEIHIN FCR 카뷰레터 K&N 커스텀 에어 필터 타원형 테이퍼 타입 |
배기 | MIZUNO MOTOR [Xess] CB750F용 3D 벤딩 집합관 머플러 스펜서 타입 |
프레임 | YASUDA SHOKAI CB-F용 오리지널 스템 키트 17인치 |
브레이크 | NISSIN 레이디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brembo P4-40C 이탈리안 플래그 브레이크 캘리퍼 30/34 40mm 싱글 SUNSTAR 프리미엄 레이싱 홀&슬릿 타입 프론트 디스크 로터 brembo P2-RS84 리어 브레이크 캘리퍼 84mm SUNSTAR 프리미엄 레이싱 리어 디스크 로터 |
휠 | GALE SPEED 타입-GP1S 3.50-17 프론트 휠 GALE SPEED 타입-GP1S 6.00-17 리어 휠 |
서스펜션 | OHLINS RWU 프론트 포크 OHLINS 리어 서스펜션 레전드 트윈 |
스텝 | OVER RACING 백스텝 4포지션 |
구동장치 계열 | METAL GEAR WORKS 스프로킷 커버 EK Chain QX 링 씰 체인 530SRX2 |
핸들/스티어링 | EFFEX 핸들바 NISSIN 레이디얼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YOSHIMURA 디지털 멀티 계기판 |
오일 쿨러 | ACTIVE 오일 쿨러 키트 라운드 #6 9-13R |
이 기사의 원문
Heritage & Leg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