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Webike Magazine

스즈키 GSX750S 카타나 커스텀 by 모토테크 : 부품 유용의 미학

MOTOTECH's GSX750S KATANA

 공랭식 카타나에 유랭 엔진을 탑재시키는 방식은 750cc든 1100cc든 인기 있는 고출력화의 정석이다. 하지만 이 GSX750S3을 베이스로 한 이 모델에는 특별한 배경이 있다.

"원래 3형 카타나(GSX750S3)를 타던 손님께서 오토바이를 그만 타시게 되면서 부품까지 모두 저희 가게에 넘겨주셨습니다. 그 후, 2018년에 팀 카가야마가 카가야마 카타나를 타고 TOT 허큘리스에 출전할 때 저희 가게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그때 도움을 주신 분이 '카가야마 카타나를 갖고 싶다'고 하셨습니다. 그건 아무래도 어려웠기 때문에 비슷한 분위기의 차량을 3형 카타나와 수중에 있던 부품을 이용해 제작했습니다."라고 개러지 모토테크의 스기야마 씨가 말했다.

 카가야마 카타나인 카타나1000R은 GSX-R1000 엔진을 오리지널 철제 프레임에 탑재시키고 카타나의 외장 부품을 장착시킨 레이서이다. 가장 먼저 만들어진 '타입1'은 CBR600RR의 스윙암과 유닛 프로링크를 사용했으며, 이번 차량도 그 설계를 참고했다. 카타나1000R은 전형적인 카타나의 모습을 갖추고 있는 차량이며, 이번 커스텀 차량은 리트랙터블 헤드라이트가 달린 3형이다. 하지만 두 차량 모두 모노 서스펜션이고 레이서는 헤드라이트 부분이 번호판 장착 공간이 되었으며, 블루×블랙 컬러링을 적용하자 예상외로 분위기가 비슷해졌다.

 3형 카타나는 모노 서스펜션이지만 프레임 형태상 쇼크 마운트를 설치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스윙암에만 연결되어 서스펜션이 완결되는 유닛 프로링크를 채용했다. 하지만 스윙암의 폭이 넓어 불균형이 심했기 때문에 예비용으로 가지고 있던 3형 프레임을 사용하여 해당 문제를 해결하고 보강했다. 본체가 되는 프레임의 스윙암 피벗 주변 바깥쪽에 또 다른 프레임으로 덮듯이 맞추어 용접해 외폭을 확보했다. 그 내부를 스윙암 폭에 맞추고 속을 비워 스윙암을 끼워 넣는다는 발상이다. 차량을 자세히 보면 크랭크케이스 후반부부터 프레임이 넓어지고 피벗 부근에서는 케이스와 같은 폭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용접 및 가공된 부분이다. 그럴듯한 방식이지만 좀처럼 생각해내기 힘든 방식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밴딧1200 엔진, GS1200SS 스템, CB1300SF 이너튜브+VFR800 바텀 케이스의 프론트 포크, RG51 휠 등 절묘하게 유용한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유닛 프로링크 덕분에 엔진 장착 각도도 자연스러워 FCR 카뷰레터여도 사계절 내내 쾌적하게 달릴 수 있는 사양이다.

 카가야마 카타나에서 영감을 얻으면서도 정성과 기술로 완성된 이 커스텀 바이크. 차량이 발산하는 고급스러운 분위기가 이러한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각 부품들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점에도 주목할 만한 바이크다.

프론트 마스터는 브렘보 레이싱, 원바디 원패널 계기판은 에이스웰의 ACE-7652. 클러치는 유압식 3형 카타나/밴딧1200에서 일부러 와이어 구동으로 변경했다. 스티어링 스템은 GS1200SS의 제품으로 교체하여 φ37mm→φ43mm 포크 대응과 앞 16인치/뒤 17인치→앞뒤 17인치 휠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

시트도 내부/표피/패턴을 모두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해 승차감과 조작감, 착지감 등을 향상시켰다.

브레이크 램프 양쪽에 리어 방향지시등을 탑재한 일체형 테일라이트 등 외장 부품은 3형 카타나의 순정품이다. 테일에는 카가야마 유키오 씨의 사인도 들어가 있다.

엔진은 밴딧1200의 1156cc 유랭식으로 바꾸고 클러치는 와이어 구동식으로 변경했다. 프론트 스프로킷 아래쪽 부근에서 프레임이 테이퍼 형태로 넓어지는데, 이는 하나 더 준비한 GSX750S3 프레임을 외부에서 맞추어 용접했기 때문이다. 그 뒤쪽인 피벗 부분에서는 이중 프레임 상태를 만든 뒤 원래 프레임의 안쪽을 도려내 스윙암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체인 라인을 확보했다. 도려낸 프레임 내부는 다시 막아서 강도를 확보했다.

FCR φ39mm 기화기는 스펀지 필터 사양을 사용했고, 전장품은 우오타니 SP2를 선택했다. 엔진/기화기의 배치는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었다고 한다.

프론트 포크는 CB1300SF 이너 튜브+'02~VFR(800) 바텀 케이스에 의한 φ43mm. 프론트 브레이크는 브렘보 M-4 캘리퍼+브렘보 슈퍼스포츠 디스크가 장착되어 있다.

리어 브레이크는 CBR600RR 캘리퍼+썬스타 웍스 익스팬드 디스크. 배기 시스템은 요시무라 듀플렉스 티타늄 사이클론 배기 파이프+햐야부사용 사이클론 소음기를 조합시켰다.

스윙암은 CBR600RR의 유닛 프로링크. 프레임에는 스윙암과 링크의 한쪽 끝만 장착하면 되기 때문에 이를 베이스로 차량 제작에 이를 수 있었다. 쇼크 유닛은 모토테크가 취급하는 아라고스타 제품을 사용했다. 휠은 VTR1000SP-2(RC51)의 3.50-17/6.00-17 사이즈를 장착했다. 드라이브 체인은 RK의 520XXW다.

갤러리

사양

분류 부품
카뷰레터/흡기 KEIHIN FCRφ39mm
JAM 3D 에어 필터
배기 YOSHIMURA 듀플렉스 티타늄 사이클론
YOSHIMURA 슬립온 트라이오벌 사이클론 1엔드
브레이크 brembo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brembo M-4 래디얼 모노블럭 브레이크 4피스톤 클리퍼
brembo 브레이크 디스크 키트 [슈퍼 스포츠]
SUNSTAR 웍스 확장 리어 디스크
서스펜션 ARAGOSTA 모노쇼크 PHASE-1
구동장치 계열 RK 520XXW 드라이브 체인
핸들/스티어링 ACEWELL 다기능 디지털 계기판
전기/전자 AS Uotani SPII 풀 파워 키트 (S.BANDIT1200-2)

이 기사의 원문

Heritage & Legends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