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터커브용 퍼포먼스 댐퍼 장착 후기! 1부
액티브에서 헌터커브용 퍼포먼스 댐퍼가 출시되었다. 수많은 헌터커브용 커스텀 부품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유일무이한 제진 장치. 지금까지 없었던 기능성 부품이라는 점에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액티브를 통해 헌터커브용 퍼포먼스 댐퍼의 샘플을 빌려 장착 및 시운전을 해본 후기를 지금부터 공유하려고 한다.
퍼포먼스 댐퍼란?
퍼포먼스 댐퍼는 야마하 모터가 개발한 제진 장치다. 차체 변형이나 불쾌한 소음, 진동을 흡수해주며 차체 강성이 아닌 차체 점성에 주목해 개발된 참신한 메커니즘이다.
처음에는 자동차용으로 개발되었고, 이후 이륜차 최초의 차체 제진 댐퍼로 '파워빔'이 등장했다. 초기 라인업은 SR, 세로우, T-MAX용. 그 후 사륜용 제품과 명칭이 통일되어 '퍼포먼스 댐퍼'로 변경되었다.
야마하에서 개발한 기술인 만큼 처음에는 야마하 차량용 제품만 있었으나, 야마하로부터 기술을 제공받은 액티브에서 다양한 바이크 브랜드용 제품을 출시했다.
더 자세히 알고싶다면 아래에 첨부된 글들을 참고해 보자.
'마법의 막대'가 바이크의 거동을 부드럽게! '퍼포먼스 댐퍼'가 피로감을 덜어준다고? 1부
'마법의 막대'가 바이크의 거동을 부드럽게! '퍼포먼스 댐퍼'가 피로감을 덜어준다고? 2부
헌터커브용 퍼포먼스 댐퍼의 특징
이번에 출시된 헌터커브용 퍼포먼스 댐퍼는 JA55와 JA65 양쪽 모두 장착이 가능하다. 액티브에서는 지금까지 중대형 차량용 제품을 주로 출시해왔는데 이번에는 예외로 헌터커브용이 출시된 것이다.
소형차량 중에서는 KTM 125DUKE('17-20)용이 이미 출시되어 있지만, 일본산 원동기 2종용은 액티브가 처음 시도하는 것이기도 하다. 모처럼의 기회를 이용해 개발 담당자에게 이런 저런 질문을 해봤다.
Q. 헌터커브용 퍼포먼스 댐퍼를 개발할 때 어떤 점에 신경 쓰셨나요?
A. 헌터커브뿐만 아니라 모든 차종용 댐퍼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기 전에 여러 군데에 테스트를 합니다. 헌터커브의 경우, 배터리 뚜껑을 열면 보이는 프레임 부분 등 다양한 위치를 검토했습니다.
제진 성능은 물론, 차량의 스타일을 해치지는 않는지 등 여러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해 장착 위치를 결정합니다.
헌터커브용 댐퍼의 장착 위치는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이상적인 위치라고 생각합니다.
Q. 힘들었던 점은 무엇인가요?
A. 장착 위치나 브래킷의 디자인 등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었지만, JA55와 JA65 두 모델에 모두 장착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 난관이었습니다.
Q. 같은 헌터커브라고는 해도 엔진도 다르고 형식 번호도 다르니
사실상 다른 차종이라고 봐야 될 정도죠.
A. 댐퍼로드 측을 R 크랭크케이스 커버에 체결하는데, JA55와 JA65는 R 크랭크케이스 커버의 볼트 간격이 다릅니다. 하지만 고생한 보람이 있어 제품 구성이나 성능, 외관 등 모든 면에서 지금까지 개발한 제품 중 단연 최고라고 자부합니다.
Q. 소배기량 차량용은 중대형 차량용과 효과가 차이 나나요?
A. 처음에 개발용 헌터커브를 탔을 때는 깜짝 놀랐습니다. 엄청나게 활기찬 프레임이라고 해야 할까요? 그만큼 퍼포먼스 댐퍼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지금까지 나온 제품 중에서도 특히 효과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Q. 제진 성능은 잘 느껴지나요?
A. 이 또한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상당히 효과가 크기 때문에 사용해보신 분들의 70% 정도는 바로 체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간편한 장착
지금부터 퍼포먼스 댐퍼를 헌터커브(JA55)에 장착해 보자.
필요한 공구
특별한 공구는 별로 필요하지 않지만 제진 장치만큼은 토크 관리를 잘 해야 한다. 참고로 육각봉 렌치가 아닌 육각 소켓을 사용하는 이유는 육각봉 렌치로는 작업하기 불편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익스텐션도 필요하다.
・8mm 소켓
・12mm 소켓
・5mm 육각 소켓
・6mm 육각 소켓
・익스텐션
・래칫 핸들
・토크 렌치
・12mm 안경 렌치
한 군데 토크 렌치가 잘 들어가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12mm 스패너 헤드가 달린 토크 렌치를 사용하면 가장 좋을 것 같다.
장착해보자
이해를 돕기 위해 머플러를 탈거했으나 실제로는 탈거하지 않고도 장착이 가능하다. 단, 히트 가드는 탈거해 두는 것을 추천한다.
우선 프론트 측의 브래킷을 조립하자.
언더파이프 상단에 있는 검은색 수지 부품(R 프론트 브래킷 커버)에 체결되어 있는 2개의 볼트(소켓 볼트 8×16) 중 왼쪽 볼트를 탈거한다. 사용된 공구는 6mm 육각 소켓이다. 조금 깊은 곳에 있기 때문에 육각봉 렌치보다는 소켓이 더 편할 것 같다.
탈거한 부분에 방금 전에 조립한 프론트 측 브래킷을 느슨하게 체결한다.
이제 리어 측 브래킷을 조립해 보자. 구멍이 하나면 뒷쪽, 구멍이 세 개면 앞쪽이다. JA55의 경우, 3개 중 가운데 구멍에 부속 볼트를 끼워 넣으면 된다.
R 크랭크케이스 커버의 볼트 2개를 탈거한다. 볼트의 이면 폭은 8mm이며, 크랭크케이스가 방해가 되므로 익스텐션을 사용하면 편하다. 배선을 고정하는 클립도 빼놓아야 한다.
아까 조립한 리어 측 브래킷을 살짝 조였다면, 앞뒤 브래킷에 퍼포먼스 댐퍼를 살짝 조인다. 퍼포먼스 댐퍼는 댐퍼 쪽이 앞, 로드 쪽이 뒤쪽에 오도록 장착해야 한다. 로고 스티커가 잘 보이도록 장착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배선 클립을 분리했으니 부속품인 타이랩을 리어 측 브래킷의 가장 아래쪽 구멍에 끼워 배선을 정리하자.
2부에서 계속됩니다.


editor
Yo
Webike Japan's global merchandiser who is passionate about motorcycles. Born in Japan, and spent his childhood in the US. 25 years of riding experience mainly on the tarmac and motorcycle market. He loves products made in Japan and considers himself a "Japan Parts evangelist".